개요
- 리눅스 커널에 논리 볼륨 관리 기능을 제공합니다.
- 물리적 디스크를 논리적으로 할당하여 유연하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.
- Software RAID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합니다.
- 일반적인 파티션은 크기가 고정적으로, 추가 용량이 필요할 경우 복잡한 절차가 필요합니다.
- LVM 없이 디스크를 추가할 경우 기존 파티션의 내용을 새로운 파티션에 복사하게 됩니다.
- 추가된 용량은 기존 데이터를 복사한 후 남은 용량만 추가됩니다.
- LVM을 통해 필요한 용량의 디스크를 추가할 수 있고, 용량이 필요한 파티션에 추가할 수 있습니다.
- 불필요하게 많이 할당된 파티션의 용량을 줄일 수도 있습니다.
LVM 개념도
주요 관련 용어
물리볼륨 (PV, Physical Volume)
- 각각의 파티션을 LVM으로 사용하기 위해 형식을 변환시킨 것을 의미합니다.(/dev/ hda1, /dev/hda2 등)
논리볼륨 (LV, Logical Volume)
- 사용자가 다루게 되는 부분이며, 마운터 포인터로 사용할 실제 파티션. 크기를 확장/축소할 수 있습니다.
볼륨그룹 (VG, Volume Group)
- PV로 되어 있는 파티션을 그룹으로 설정합니다.
- /dev/sda1 을 하나의 그룹으로 만들 수도 있고, 두 개 파티션을 하나의 그룹으로 만들 수도 있습니다.
(예: /dev/sda1 + /dev/sda2)
물리적 범위 (PE, Physical Extent)
- LVM이 물리적 저장공간(PV)을 가리키는 단위입니다. (기본 단위는 4MB)
논리적 범위 (LE, Logical Extent)
- LVM이 논리적 저장공간(LV)을 가리키는 단위입니다. (기본 단위는 물리적 범위와 동일)
VGDA (Volume Group Descriptor Area)
- 볼륨그룹의 모든 정보가 기록되는 부분입니다.
- VG의 이름, 상태, 속해있는 PV, LV, PE, LE들의 할당 상태 등 을 저장합니다.
- VGDA는 각 물리볼륨의 처음부분에 저장됩니다.
참고자료
https://ko.wikipedia.org/wiki/%EB%85%BC%EB%A6%AC_%EB%B3%BC%EB%A5%A8_%EA%B4%80%EB%A6%AC%EC%9E%90
http://sgbit.tistory.com/12
https://wiki.kldp.org/HOWTO/html/LVM-HOWTO/x57.html
https://idchowto.com/?p=12279
피드 구독하기:
댓글 (Atom)
[Network] DMZ의 정의
DMZ (De-Militarized Zone) - 보안을 위하여 내부/외부 네트워크를 분리할 때, 외부로 서비스는 제공 하면서 내부의 보안을 유지 하기 위한 방법입니다. - 내부망과 외부망 사이에 위치한 네트워크입니다. ...
-
서버 원격 접속 시 보안을 위하여 클립보드 사용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. > 로컬 그룹 정책 편집기 > 컴퓨터 구성 > 관리 템플릿 > Windows 구성 요소 > 터미널 서비스 > 원격 테스트톱 세션 호스트...
-
세션 - 프로세스는 프로세스를 시작시킨 사용자에게 속하며, 세션에 속합니다. - 세션은 프로세스, 윈도우, 윈도우 스테이션, 데스크탑, 여러 리소스들을 포함합니다. - 프로세스는 1개 세션에 속하고 각 세션은 세션 ID를 가지고 있습니다. - ...
-
개요 - HP에서 만든 임베디드 서버관리 기술입니다. - 기본 NIC 외 물리적 이더넷 포트를 사용하여 원격지에서 HP 서버 활동을 수행합니다. - ProLiant 서버 사용자에게 제공되며, 원격 접속 포트로 시스템에 접속합니다. - 시스템 앞...
댓글 없음:
댓글 쓰기